카테고리 없음

위생설비의 구성과 역활

율빈아넘버원 2023. 9. 18. 15:11
반응형

 

위생설비의 개념

위생설비는 건물이나 그 부지 내에서 사람이 생활하거나 생산 활동을 하기 위해 필요한 물을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공급하고, 사용된 물은 지체 없이 건물 밖으로 배제하기 위한 설비를 말합니다.

위생설비의 구성

급수설비

사람이 생활하는데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시설로 수도 본관, 수도계량기, 급수전, 수도꼭지 등으로 구성

급수설비의 종류

1.수도 본관

수도 본관은 수도사업소에서 공급하는 물을 건물 내부로 공급하는 배관입니다. 수도 본관은 일반적으로 강관, 스테인리스관, 동관 등의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내구성이 높고 물이 새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2.수도계량기

수도계량기는 수도 본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측정하는 장치입니다. 수도계량기는 일반적으로 전자식 또는 기계식으로 제작되며, 물 사용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3.급수전

급수전은 수도 본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입니다. 급수전은 일반적으로 수도꼭지와 샤워기 등으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4.수도꼭지

수도꼭지는 급수전에서 공급되는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입니다. 수도꼭지는 일반적으로 물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5.급수펌프

급수펌프는 수도 본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건물 내부로 공급하는 장치입니다. 급수펌프는 일반적으로 전기를 사용하여 작동하며, 물을 높은 곳으로 끌어올리는 역할을 합니다.

6.저수조

저수조는 수도 본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장치입니다. 저수조는 일반적으로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물을 저장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습니다.

7.정수기

정수기는 수도 본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는 장치입니다. 정수기는 일반적으로 물을 정화하여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8.온수기

온수기는 급탕설비에서 사용되는 물을 가열하는 장치입니다. 온수기는 일반적으로 전기를 사용하여 작동하며, 물을 가열하여 따뜻한 물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9.급수배관

급수배관은 수도 본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건물 내부로 공급하는 배관입니다. 급수배관은 일반적으로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물이 새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10.급수밸브

급수밸브는 급수배관에서 물을 조절하는 장치입니다. 급수밸브는 일반적으로 물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위와 같은 종류의 급수설비는 건물의 규모와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습니다.

또한, 급수설비는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주기적으로 유지보수를 해야 합니다.

급탕설비

사람이 생활하는데 필요한 온수를 공급하는 시설로, 급탕탱크, 급탕전, 온수꼭지 등으로 구성됩니다.

급탕설비는 건물과 부지 내에서 적당한 온도로 가열한 온수를 음료, 주방, 세척, 목욕 등을 위해 공급하는 설비를 말합니다. 급탕설비는 가열방식에 따라 직접가열방식과 간접가열방식으로 분류하고 공급방식에 의해 국소식과 중앙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직접가열방식

급탕관의 일부를 가스나 전기로 가열하여 직접 온수를 얻는 방법으로 열의 전도효율이 양호하고, 배관 열손실이 적으며, 급탕개소마다 가열기 공간이 필요합니다. 급탕개소가 적을 경우 시설비가 싸며, 높은 온도의 온수를 얻기가 용이하고 수시로 급탕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2.간접가열방식

가열장치를 통해 물을 가열한 후, 온수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대규모 급탕설비에 적합합니다. 가열장치의 설치 공간이 필요하며, 유지보수가 어렵습니다.

3.국소식 급탕설비

개별적으로 급탕설비를 갖춘 방식으로 배관길이가 짧아 배관 중의 열손실이 적게 일어나며, 수시로 급탕하여 사용할 수 있고 비교적 급탕개소의 증설이 용이합니다. 급탕개소가 적을 경우 시설비가 적게 듭니다.

4.중앙식 급탕설비

건물 전체에 급탕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대규모 급탕설비에 적합합니다. 가열장치의 설치 공간이 필요하며, 유지보수가 어렵습니다.

배수설비

사용한 물을 건물 밖으로 배출시키는 시설로, 배수관, 배수펌프, 배수맨홀 등으로 구성됩니다.

통기설비

건물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시설로, 환기팬, 환기닥트 등으로 구성됩니다.

소화설비

화재 발생 시 소화를 위한 시설로, 소화전, 소화펌프, 소화기 등으로 구성됩니다.

오수처리설비

사용한 물 중에서 오수를 처리하는 시설로, 오수처리시설, 정화조 등으로 구성됩니다.

 

위생설비계획을 세울 시 고려사항

사용자의 요구사항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필요한 물을 공급하고, 사용한 물을 배출시키는 시설을 설계해야 합니다.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물 공급량과 사용량을 예측하고, 필요한 시설의 용량을 결정해야 합니다.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물의 수질을 고려하여 필요한 시설을 설계해야 합니다.

건물의 구조와 크기

건물의 구조와 크기에 따라 필요한 물을 공급하고, 사용한 물을 배출시키는 시설의 크기와 위치를 결정해야 합니다.

건물의 구조와 크기에 따라 물 공급량과 사용량을 예측하고, 필요한 시설의 용량을 결정해야 합니다.

물의 공급량과 사용량

물의 공급량과 사용량을 예측하여 필요한 시설의 용량을 결정해야 합니다.

물의 공급량과 사용량에 따라 물의 공급과 배출 시간을 결정해야 합니다.

물의 수질

물의 수질을 고려하여 필요한 시설을 설계해야 합니다.

물의 수질에 따라 물 공급량과 사용량을 조절해야 합니다.

물의 공급과 배출 시간

물의 공급과 배출 시간을 고려하여 필요한 시설의 운영 시간을 결정해야 합니다.

물의 공급과 배출 시간에 따라 시설의 안전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시설의 안전성

시설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합니다.

시설의 안전성을 위해 물 공급량과 사용량을 조절해야 합니다.

시설의 유지보수

시설의 유지보수를 고려하여 설계해야 합니다.

시설의 유지보수를 위해 물 공급량과 사용량을 조절해야 합니다.

반응형